반응형

태풍 5

태풍 "무이파" 이목관심

기상청은 추석인 10일 전국 대부분 지역에서 높은 구름 사이로 보름달을 볼 수 있겠다고 예보했습니다. 동해안과 제주도는 동풍의 영향으로 낮은 구름이 유입돼 흐리겠습니다. 예상 강수량은 5㎜ 내외입니다. 아침 최저기온은 13∼21도, 낮 최고기온은 23∼28도로 예보됐다. 서·남해안과 제주도에는 해수면이 강해지겠으니 해안가 저지대에서는 침수 피해가 없도록 유의해야 할 것입니다. 추석날 전국 대부분 지역에서 고도 5㎞에 낀 높은 구름 사이로 보름달이 보일 것이라고 합니다. 월출 시각은 오후 7시 전후입니다. 한편 8일 오전 9시 일본 오키나와 남동쪽 1200㎞ 해상에서 열대저압부에서 태풍으로 발달한 제12호 태풍 ‘무이파’는 북서 진하면서 9일 오전 9시 현재 일본 오키나와 남쪽 1000㎞ 해상에 도달했습니..

일상일기 2022.09.09

11호 태풍 힌남노, 실시간 루트

▨기상청 예상 경로… 남해안 지날 때 '만조', 폭풍해일 우려 ▨"중심 위치 50㎞ 변동… 상륙지점 특정 말고 대비해야" ▨제주·남해안 순간풍속 40~60㎧…폭풍반경 내 안전한 곳 없어 ▨ 전국에 비 100~300㎜…전국 대부분 지역 200㎜ 이상 강 교수는 힌남노의 특성에 대해 “태풍이 마냥 다 중심이 강한 것만은 아니다. 많은 경우가 북태평양 고기압이 가장자리를 자꾸 채찍질해 발달한다”며 “그런데 힌남노는 중심이 뜨거워서 발달한, 자체 동력을 가진 교과서적인 구조다. 가장자리에서 채찍질하지 않아도 대칭적이고 중심이 뚜렷한 양태”라고 설명했다. 이어 “지금부터는 약화 단계로 가기 때문에 눈이 흐려질 수도 있지만 굉장히 강한 구조로 돼 있어 특히 중심부에 가까운 지역들에서는 피해가 우려된다”며 “태풍 오..

일상일기 2022.09.05

태풍 · 홍수의 피해와 대처 방법

1. 태풍으로 발생하는 피해 강풍이 불어 나무가 부러지고 농작물이 쓰러집니다. 또한 건물이나 집의 유리창이 깨질 수 있습니다. 2. 홍수로 발생하는 피해 도로가 물에 잠겨 교통이 마비되고, 주택지, 농경지 등이 물에 잠깁니다. 태풍과 홍수로 발생하는 피해의 크기 2. 태풍과 홍수에 대처하는 방법 태풍이 오기 전에 대비를 해놓으면 피해를 줄일 수 있습니다. 1. 집안의 하수구나 주변 배수구를 미리 점검하고 막힌 곳은 뚫습니다. 2. TV, 라디오, 스마트폰 등 태풍 예보를 미리 확인하여 태풍 시기를 미리 파악하고 미리 공유합니다. 3. 하천 근처에 주차해 둔 차량이 있다면 이동 주차하시고, 문과 창문은 잘 닫아 고정시켜둡니다. 4. 저지대, 침수 예상 지역에 거주하고 있는 경우 지역을 벗어나 대피할 준비를..

일상일기 2022.09.04

태풍 힌남노 매우 "강"으로 상륙할 듯...우리동네는 언제 대비하나요?

제11호 태풍 ‘힌남노’가 우리 동네에 가장 가까워지는 때는 언제일까? 그때 거리는 얼마이고, 태풍 강도는 얼마나 셀까? 기상청은 4일 “제11호 태풍 ‘힌남노’는 오후 3시 현재 대만 타이베이 북동쪽 약 390㎞ 부근 해상을 중심기압 935헥토파스칼, 중심 부근 최대풍속 초속 49m, 강풍반경 430㎞의 ‘매우 강’ 세력으로 발달해 시속 26㎞의 빠른 속도로 북북동 진하고 있다”라고 밝혔습니다. 태풍 힌남노는 24시간 뒤 제주 서귀포시 남남서쪽 약 340㎞ 부근 해상까지 접근한 뒤 6일 새벽 3시께 면 서귀포시 동북동쪽 약 50㎞ 부근 해상에서 북동쪽으로 방향을 틀어 진행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이때까지 태풍 세력은 중심 풍속이 초속 44m가 넘는 ‘매우 강’ 수준일 것으로 보입니다. 기상청은 누리집에서..

일상일기 2022.09.04

[태풍'힌남노'] 북상 대비법 총정리

제11호 태풍 '힌남노'가 한반도를 향해 다가오고 있습니다. 태풍의 강도는 '매우 강'인 상태며 우리나라를 향해 다가올수록 점차 속도를 내고 있습니다. 다음 주 월요일부턴 전국이 태풍의 영향권에 들 걸로 보이는데요, 주말 새 만반의 준비를 해 피해 없도록 하셔야겠습니다. 여러 곳에 흩어져 있는 상황별, 지역별 태풍 대비법을 한눈에 보기 쉽게 정리해드립니다. 태풍 오기 전 꼭 점검하세요! ■ 태풍 '힌남노'는 강한 비바람을 동반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강한 바람에 날아갈 수 있는 지붕, 간판, 천막 등은 미리 단단히 고정해주세요. 자전거나 화분 등 주택 주변 구조물도 실내로 옮기거나 결박해주세요. 많은 비로 침수 우려가 높은 지역의 경우 하수구나 집 주변 배수구를 점검합니다. 아파트 지하주차장, 건물 등은 ..

일상일기 2022.09.03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