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목요일 2

수여동사 너는 뭐니?

수여동사 '만들다(make)'와 '주다(give)'를 비교해보면 '주다'가 특이한 동사라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A를 만들다.'와 달리 'A를 주다.'는 무언가 부족합니다. '누구에게 A를 준다는 거지?'라는 의문이 들기도 하죠.영어도 마찬가지입니다. 1. I will give money. ?? 나는 돈을 줄거야. 윗 문장이 이상한 이유는 '누구에게' 돈을 준다는 정보가 없기 때문입니다. 1은 2처럼 고쳐야 완전한 문장이 됩니다. 2. I will give my brother money. 나는 내 동생에게 돈을 줄거야. 간접 목적어 직접 목적어 일반 타동사와 달리 give는 두 개의 목적어를 취할 수 있습니다. 첫 번째 목적어는 '간접목적어' 두번째는 '직접목적어'라고 합니다. 한국어로 해석했을 때 ..

일상영어 2022.09.22

오른 손이 바른 손이 된 사연은?

오른 손이 바른 손이 된 사연은? 예전에 선생님께서 학생들에게 “발표할 사람은 바른 손을 드세요~”라고 말하던 시절이 있습니다. 오른 손을 ‘바른 손’이라고 불렀던 던 것이죠. 이렇게 우리나라에는 오른 쪽은 바르고, 왼 쪽은 바르지 않은, 잘못되었다는 인식이 있었답니다. 외직으로 전근됨을 이르는 말인 좌천(左遷)도 알고 보면 ‘왼쪽’으로 옮겼다는 뜻이죠. 공교롭게도 영단어에도 이와 같은 개념이 숨어 있답니다. 이미지맵을 보며 오른 손이 바른 손이 된 유래를 확인해 볼까요? right의 수많은 뜻은 ‘올바른’이라는 기본 의미로부터 진화 된 것들입니다. 왼손 잡이보다 오른손 잡이가 많기 때문에 사람들은 ‘오른 쪽’이 올바른 방향이라고 생각했죠. 그래서 right에는 ‘오른 쪽의’라는 뜻이 생기게 됩니다. 또..

일상영어 2022.09.22
반응형